기독교 관련 참고 자료

[스크랩] 마음정화 방법의 순서

잔잔한 시냇가 2008. 9. 15. 11:29

마음정화 방법의 순서는,

⑴ 소죄를(小罪)를 고칠 것

⑵ 마음의 문란을 감시

⑶ 사고(思考)를 감시 정비

⑷ 하나님의 뜻을 이루고자 분발.

 


정화도(淨化道)의 4단계

 

⑴ 자기좌와 받을 벌에서 깨끗해질 것 (어떤 의미의 報償的인 것이 있음)

⑵ 악한 습관, 방종한 감정을 고칠 것 (극기<克己>, 제덕<諸德>실천)

⑶ 죄로 끄는 원인이 되고 죄의 자료가되는 생래의 부패를 벗어날 것 (비적<秘蹟>)

⑷ 인간본성의 연약을 제거하는 일 (신과의 일치로)

성인론(聖人論): 성인 그는 누구인가?

⑴ 성인은 미래를 산 인간이다 ― 현대인은 오늘을 살지만 성인들은 영원을 산다.

⑵ 성인은 반항적(反抗的)인 인간이다 ― 풍속, 운명, 세속적이고 음난한 문화, 인간의 유한성에 대해 서 끈임없이 반항한다.

⑶ 성인은 실천하는 지성인이다 ― 말 보다도 행위에, 실천에 혼심을 기울인다.

⑷ 성인은 고독을 이긴 인간이다 ― 고독속에서 자기를 발견하고, 절대 주권자를 발견한다.

⑸ 성인은 종합적인 인간이다 .

1. 내면적 수준에서 성숙한 인간 → 자기자신에 대한 정체성(identity)를 가진자.

①. 나는 어디서 왓는가?

② 나는 무엇을 해야 할것인가?

③ 나는 무엇을 위해 죽을 수 있는가?(사명) 쌕스피어 - 식당 청소원 - '지구의 한모퉁이를 깨뜨게 한다는 인식'

위대한 영성의 거장들은 위의 3가지 질문에 대해 확실한 대답을 가지고 있엇다. 하나님과 관련시켜서(관계) 자신의 identity를 발견햇다. Calvin은 "하나님을 아는 것은 곧 인간을 아는 것이다."

 


대인관계에서 성숙한자.

① 타인과 올바른 관계를 맺는 자

인간관계의 4가지 유형(by T. A. Harris)

ⓐ 자기부정 - 타인긍정의 관계 (I am not O. K. You are O. K.) = 공포, 피해망상, 무력감, 열등감을 가진 인간

ⓑ 자기긍정 - 타인 부정형의 관계(I am O. K. You are not O. K.) = 우월간, 자신감, 타인 비난형 인간

ⓒ 자기부정 - 타인 부정형의 관계(I am not O. K. You are not O. K.) = 반복적인 실패, 체념, 무의미, 파괴적 관계의 인간

ⓓ 자기긍정 - 타인 긍정형의 관계(I am O. K. You are O. K.) = 바람직한 대인관계를 갖는 신념형 인간

② 타인을 있는 그대로 용납하는 자 = 외국에 사는 한국인의 예

③ 감정이입 할 수 있는 자 = 인간관계는 서로의 감정에 참여할때 보다 친밀한 관계가 형성된다.

④ 감정을 건설적으로 표현 할 수 있는 자.

감정표현의 3가지 형태

ⓐ 직접표현의 형태 - 독설, 무엇을 걷어 차거나, 던짐, 또는 타인을 구타.(ex. 남자)

ⓑ 간접표현의 형태 - 뒤에서 상대방 비난, 정좌

ⓒ 솔직이 표현하는 형태 - 느끼고 있는 감정태로 표현하는 형태(젖은 고속도로를 질주하는 남편에대한 아내의 감정표현 첫째 발을 구르며 남편을 향해 욕을 할 수 있다. 둘째 당신은 현들을 잡으면 미친 사람같아(비난). 셋째 젖은 길에서 이렇게 속력을 내니 , 난 무척 두려움을 느겨요.

⑤ 사랑받고, 사랑하는 일에 균형을 유지 하는 자

⑥ 남과 여의 성의 역활을 바로인식 하고 올바른 관계를 맺는 자(영국의 대처수상)

⑦ 타인과 원만한 의사소통을 하는 자 ,

 

⑴ 소죄를(小罪)를 고칠 것

⑵ 마음의 문란을 감시

⑶ 사고(思考)를 감시 정비

⑷ 하나님의 뜻을 이루고자 분발.

 


 

정화도(淨化道)의 4단계

⑴ 자기좌와 받을 벌에서 깨끗해질 것 (어떤 의미의 報償的인 것이 있음)

⑵ 악한 습관, 방종한 감정을 고칠 것 (극기<克己>, 제덕<諸德>실천)

⑶ 죄로 끄는 원인이 되고 죄의 자료가되는 생래의 부패를 벗어날 것 (비적<秘蹟>)

⑷ 인간본성의 연약을 제거하는 일 (신과의 일치로)

성인론(聖人論): 성인 그는 누구인가?

⑴ 성인은 미래를 산 인간이다 ― 현대인은 오늘을 살지만 성인들은 영원을 산다.

⑵ 성인은 반항적(反抗的)인 인간이다 ― 풍속, 운명, 세속적이고 음난한 문화, 인간의 유한성에 대해 서 끈임없이 반항한다.

⑶ 성인은 실천하는 지성인이다 ― 말 보다도 행위에, 실천에 혼심을 기울인다.

⑷ 성인은 고독을 이긴 인간이다 ― 고독속에서 자기를 발견하고, 절대 주권자를 발견한다.

⑸ 성인은 종합적인 인간이다 .


 

1. 내면적 수준에서 성숙한 인간 → 자기자신에 대한 정체성(identity)를 가진자.

①. 나는 어디서 왓는가?

② 나는 무엇을 해야 할것인가?

③ 나는 무엇을 위해 죽을 수 있는가?(사명) 쌕스피어 - 식당 청소원 - '지구의 한모퉁이를 깨뜨게 한다는 인식'

위대한 영성의 거장들은 위의 3가지 질문에 대해 확실한 대답을 가지고 있엇다. 하나님과 관련시켜서(관계) 자신의 identity를 발견햇다. Calvin은 "하나님을 아는 것은 곧 인간을 아는 것이다."

대인관계에서 성숙한자.

 

① 타인과 올바른 관계를 맺는 자

인간관계의 4가지 유형(by T. A. Harris)

ⓐ 자기부정 - 타인긍정의 관계 (I am not O. K. You are O. K.) = 공포, 피해망상, 무력감, 열등감을 가진 인간

ⓑ 자기긍정 - 타인 부정형의 관계(I am O. K. You are not O. K.) = 우월간, 자신감, 타인 비난형 인간

ⓒ 자기부정 - 타인 부정형의 관계(I am not O. K. You are not O. K.) = 반복적인 실패, 체념, 무의미, 파괴적 관계의 인간

ⓓ 자기긍정 - 타인 긍정형의 관계(I am O. K. You are O. K.) = 바람직한 대인관계를 갖는 신념형 인간

② 타인을 있는 그대로 용납하는 자 = 외국에 사는 한국인의 예

③ 감정이입 할 수 있는 자 = 인간관계는 서로의 감정에 참여할때 보다 친밀한 관계가 형성된다.

④ 감정을 건설적으로 표현 할 수 있는 자.

감정표현의 3가지 형태

ⓐ 직접표현의 형태 - 독설, 무엇을 걷어 차거나, 던짐, 또는 타인을 구타.(ex. 남자)

ⓑ 간접표현의 형태 - 뒤에서 상대방 비난, 정좌

ⓒ 솔직이 표현하는 형태 - 느끼고 있는 감정태로 표현하는 형태(젖은 고속도로를 질주하는 남편에대한 아내의 감정표현 첫째 발을 구르며 남편을 향해 욕을 할 수 있다. 둘째 당신은 현들을 잡으면 미친 사람같아(비난). 셋째 젖은 길에서 이렇게 속력을 내니 , 난 무척 두려움을 느겨요.

⑤ 사랑받고, 사랑하는 일에 균형을 유지 하는 자

⑥ 남과 여의 성의 역활을 바로인식 하고 올바른 관계를 맺는 자(영국의 대처수상)

⑦ 타인과 원만한 의사소통을 하는 자

출처 : 정오의 빛 Blogs
글쓴이 : 숨어우는바람소리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