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똥쑥, 개똥쑥의 효능, 질병을 일으키는 돼지풀예방,치유식물/ Healthy Aging
2013/05/29 22:13
http://blog.naver.com/j77707/30168904107
쑥이란, 쑥의 종류
쑥은 국화과(Composit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서 한국, 중국, 일본 등 아시아 및 유럽에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전 세계에 약 400여종, 국내에서는 약숙(Artemisia vulgaricus), 인진쑥(Artemisia capillaries), 참쑥(Artemisia mongolica) 등 약 300여종이 자생하고 있다. 쑥은 여러 가지 효소와 핵산을 함유하고 풍부한 염록체를 가지고 있으며, 식물성 섬유질, 단백질과 다양한 미네랄 및 비타민을 함유하고 있다.
쑥
쑥
개똥쑥, 개똥쑥의 특징, 개똥쑥의 효능, 개똥쑥 효소, 개똥쑥 차
개똥쑥(Artemisia annua L.)은 국화과 쑥속(Artemisia)에 속하는 한해살이 풀로서 전체에 털이 없고 특수한 냄새를 풍긴다. 개똥쑥의 성질은 본초강목에서 “개똥쑥은 맵고 쓰며 성질은 서늘하고 독이 없다” 상해상용중초약에서 “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라고 한다.
개똥쑥은 줄기는 녹색이고 가지를 많이 치며, 잎은 어긋나기를 하며 2-3회 가늘게 깃털모양으로 깊게 갈라진다. 잎의 길이는 4-7cm이며 피침모양이고 겉에는 잔털과 선점이 있다. 윗부분의 잎은 작다. 꽃은 작은 두상화서가 모여 전체적으로 원추화서를 이룬다. 6-8월에 녹황색으로 피는데 두상화서는 둥글고 지름은 1.5cm이다. 총포면은 털이 없으며 2-3줄로 배열되고 외포면은 타원모양의 녹색이다. 열매는 수과를 길이 0.7mm이며 달걀색으로 익는다.
개똥쑥 사진
개똥쑥의 효능
1. 개똥쑥은 2000년 이상 동안 중국 등지에서 해열제로 사용되어 왔으며,
다른 약제와 함께 황달, 두통, 현기증, 코피 등에 사용되어 왔다.
2. 개똥쑥의 잎에 많은 알테미시닌(Artemisinin)을 함유하고 있어
말라리아 치료제로 사용한다.
3. 한방에서는 청호라 하여 해열, 이담, 악창 등에 이용한다.
4. 피로회복 및 면역력 강화에 효과가 있다고 한다.
5, 화장품, 향수의 주요한 원료로도 사용된다.
6. 인도네시아에서는 장식용으로도 재배하고 있다.
7. 개똥쑥의 추출물로서 항암효과에 대한 여러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개똥쑥 식용방법, 개똥쑥 효소, 개똥쑥 차
1) 효소를 만들어 먹는다. 개똥쑥과 설탕을 1:0.6-1비율로 섞어서
3개월 숙성한 후에 쑥을 제거하고 6개월 이상 후숙성을 한다.
2) 말린 개똥쑥을 보리차처럼 끓여 개똥쑥차로 먹는다
(개똥쑥 50그램에 물1리터를 넣고 물 700CC가 되도록 달여 하루에 다섯 번 정도
나누어 마신다. 위장에 부담이 없다는 개똥쑥 70그램을 그렇지 않다면
30그램 정도로 조정한다)
3) 연한 잎은 쌈채소나 차로 이용한다.
4) 말린 개똥쑥은 백숙, 삼계탕 등에 넣어 먹는다.
단, 평소 몸이 차거나 소화가 잘 안되시는 분, 임산부들은 사전 의사와
상의하여야 한다.
개똥쑥효소 만드는 법(일반 쑥과 동일)
1) 개똥쑥을 아침에 채취하여 손질하고 씻어서 물기를 제거한다
2) 개똥쑥과 설탕을 1:1의 비율로 하여 우선 설탕의 2/3를 넣고 개똥쑥을 버무린다
(설탕비율은 수분과 브릭스에 따라 조정한다).
3) 개똥쑥의 숨이 죽으면 용기에 담고 그위에 나머지 설탕 1/3을 뿌려준다.
4) 한지로 봉하고 햇빛이 들지않는 그늘에 20도내외로 발효시킨다(너무 저온이면
발효가 잘 되지 않는다).
5) 처음 일주일은 자주 뒤집어 주고, 그 이후는 가끔 뒤집는다.
6) 3개월이상 숙성 후 쑥을 걸러내고 나서 6개월 이상 후숙성한다.
7) 보관은 직사광선을 피하고 통풍이 좋은 곳에 12도에서 18도 수준으로 보관한다
(효소균은 40도가 넘으면 사멸한다).
8) 효소를 생수와 적당한 비율로 섞어 당도(Brix)가 7이 되지않도록 하고
뜨겁지 않도록 하여 마신다.
* 설탕을 1:1보다 적게 넣으면서 재료의 당도(Brix)와 산도(ph)에 따라 발효시키는 방법은 "산야초 발효효소 만드는 법(2), 2013.6.18"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개똥쑥 키우는 방법(농진청 자료에서)
1) 개똥쑥은 미세종자임으로 파종 후 복토량을 적게하여야 하며,
종자발아온도는 25도가 적합 하다.
2) 연결포트 파종 육묘(30일) 후, 정식시 생육이 촉진된다.
3) 개똥쑥의 적정 재식밀도는 90cm이랑에 조간거리 30cm,
주간거리 10cm이 적합하다.
4) 수확적기는 꽃이삭이 달린 9월 중순이 적합하다.
개똥쑥과 돼지풀의 비교,
돼지풀, 둥근잎돼지풀, 단풍잎돼지풀, 돼지풀의 유해성
개똥쑥과 돼지풀의 유사성
개똥쑥과 돼지풀은 외관으로 볼 때 유사하다. 따라서 주의깊에 관찰하여야 한다. 인체에 좋은 효과가 있는 개똥쑥과는 달리 돼지풀은 환경부 지정 1,2호 유해식물이며, 산림청 및 각 지자체에서도 퇴치작업을 하고 있다.
돼지풀을 생태계를 파괴하고 사람들에게 알레르기를 일으킨다.
돼지풀은 돼지풀, 단풍잎돼지풀, 둥근잎돼지풀 3종류가 있다.
헝가리, 돼지풀로 인한 환자가 100만명, 헝가리 공기청정기 시장
헝가리에서는 돼지풀로 인한 알레르기 환자가 급증하여 국민 10명당 1명 꼴인 100만명이 질병을 앓고 있다고 한다. 이로인해 현재 헝가리에서는 공기청정기와 마스크의 수입이 급증하고 있다(KOTRA 제공). 한국기업의 헝가리 공기청정기 시장에서 시장점유율이 2010년 0.16%에서 2012년 2.40%로 증가했다고 한다. 이렇게 우리나라 기업의 해외 수출증가를 위해 해외시장정보를 상세하게 제공하는 KOTRA 헝가리 담당직원에게 감사를 표한다. 이런 직원들로 인해 우리나라가 성장을 할 수 있었다고 본다.
돼지풀, 돼지풀의 특징, 사진
돼지풀은 잎은 밑부분에서는 마주나기하며 상부에서는 어긋나기하고 2-3회 우상으로 갈라지며 길이 3-11cm로서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털이 있으며 뒷면은 잿빛이 돌고 연모(軟毛)가 밀생한다.수과는 딱딱한 총포(과포)에 싸여 있다.높이가 1m이상에 달하고 전체에 짧은 센털이 있으며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산기슭이나 도시 주변의 빈터에 흔하게 자란다.돼지풀이란 영명의 hogweed에서 온 이름이며 화분병(花粉病)을 일으키는 가장 악질종으로 알려져 있고 소가 먹지 않는다(산림청).
돼지풀 사진
둥근잎돼지풀은 잎은 마주나기하며 단풍잎돼지풀과 달리 잎이 갈라지지 않고 밑부분이 갑자기 엽병으로 흐르며 양면에 센털이 있고 열편은 타원상 피침형으로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끝이 밋밋하지만 길게 뾰족해지고 엽병은 길이가 6cm정도로서 표면에 홈이 지며 가장자리와 더불어 백색털이 있고 밑부분이 넓어져서 원줄기를 감싼다.수과는 달걀모양이며 길이 6-12mm로서 능선에 4-10개의 잔돌기가 있다.거센 털이 있다.기본종과 달리 잎이 갈라지지 않는다(산림청).
둥근잎돼지풀 사진
단풍잎 돼지풀
환경부 지정 생태교란 식물 6종(환경부 자료에서)
번호 |
지정현황 |
특 성 |
사 진 |
1 |
단풍잎 돼지풀 |
북미에서 들어온 국화과의 식물로서 양지 바른 곳이면 주택가, 산의 능선, 계곡, 휴경지 등에서 왕성히 자라 다른 식물들이 비집고 들어오지 못할 정도의 큰 무리를 이룸. 특히 단풍잎돼지풀은 키가 크기 떄문에 다른식물의 생육을 방해할 수 있음. 제거할 때에는 반드시 뿌리채 뽑아 건조 후 폐기하여야 함. |
<v:f eqn="if lineDrawn pixelLineWidth 0"> <v:f eqn="sum @0 1 0"> <v:f eqn="sum 0 0 @1"> <v:f eqn="prod @2 1 2"> <v:f eqn="prod @3 21600 pixelWidth"> <v:f eqn="prod @3 21600 pixelHeight"> <v:f eqn="sum @0 0 1"> <v:f eqn="prod @6 1 2"> <v:f eqn="prod @7 21600 pixelWidth"> <v:f eqn="sum @8 21600 0"> <v:f eqn="prod @7 21600 pixelHeight"> <v:f eqn="sum @10 21600 0"> </v:f></v:f></v:f></v:f></v:f></v:f></v:f></v:f></v:f></v:f></v:f></v:f> <o:lock aspectratio="t" v:ext="edit"> </o:lock> |
2 |
돼지풀 |
<v:f eqn="if lineDrawn pixelLineWidth 0"> <v:f eqn="sum @0 1 0"> <v:f eqn="sum 0 0 @1"> <v:f eqn="prod @2 1 2"> <v:f eqn="prod @3 21600 pixelWidth"> <v:f eqn="prod @3 21600 pixelHeight"> <v:f eqn="sum @0 0 1"> <v:f eqn="prod @6 1 2"> <v:f eqn="prod @7 21600 pixelWidth"> <v:f eqn="sum @8 21600 0"> <v:f eqn="prod @7 21600 pixelHeight"> <v:f eqn="sum @10 21600 0"> </v:f></v:f></v:f></v:f></v:f></v:f></v:f></v:f></v:f></v:f></v:f></v:f> <o:lock aspectratio="t" v:ext="edit"> </o:lock><w:wrap type="square"></w:wrap> | |
3 |
서양등골 나물 |
1970년대 후반부터 발견된 북미산 외래 식물로써 식물체에 trematol 성분이 있어 이를 먹은 소의 유제품을 섭취하면 구토, 변비 등의 증세를 수반하는“milk sickness”라는 병이 생길 수 있음 |
<v:f eqn="if lineDrawn pixelLineWidth 0"> <v:f eqn="sum @0 1 0"> <v:f eqn="sum 0 0 @1"> <v:f eqn="prod @2 1 2"> <v:f eqn="prod @3 21600 pixelWidth"> <v:f eqn="prod @3 21600 pixelHeight"> <v:f eqn="sum @0 0 1"> <v:f eqn="prod @6 1 2"> <v:f eqn="prod @7 21600 pixelWidth"> <v:f eqn="sum @8 21600 0"> <v:f eqn="prod @7 21600 pixelHeight"> <v:f eqn="sum @10 21600 0"> </v:f></v:f></v:f></v:f></v:f></v:f></v:f></v:f></v:f></v:f></v:f></v:f> <o:lock aspectratio="t" v:ext="edit"> </o:lock><w:wrap type="square"></w:wrap> |
4 |
털물참새피 |
원산지가 북미로서 ’94년 제주도에서 처음 발견된 이후 전라도 일부지방에 번식되고 있으며, 이들은 벼의 생육을 방해하고 농수로에 무성하게 자라 물길을 막기 일쑤임. 특히 뿌리의 길이가 1m 이상으로 길어 뽑아 내기도 쉽지 않은 식물임. |
<v:f eqn="if lineDrawn pixelLineWidth 0"> <v:f eqn="sum @0 1 0"> <v:f eqn="sum 0 0 @1"> <v:f eqn="prod @2 1 2"> <v:f eqn="prod @3 21600 pixelWidth"> <v:f eqn="prod @3 21600 pixelHeight"> <v:f eqn="sum @0 0 1"> <v:f eqn="prod @6 1 2"> <v:f eqn="prod @7 21600 pixelWidth"> <v:f eqn="sum @8 21600 0"> <v:f eqn="prod @7 21600 pixelHeight"> <v:f eqn="sum @10 21600 0"> </v:f></v:f></v:f></v:f></v:f></v:f></v:f></v:f></v:f></v:f></v:f></v:f> <o:lock aspectratio="t" v:ext="edit"> </o:lock><w:wrap type="square"></w:wrap> |
5 |
물참새피 |
원산지가 열대아시아로서 우리나라에는 ’94년도에 제주도 저수지․논에서 발견되었고, 이들은 논에서 활발히 성장하기 때문에 심각한 잡초로 꼽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늪지, 소택지, 오염된 하천과 높은 농도의 염도에서는 잘 자라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
<v:f eqn="if lineDrawn pixelLineWidth 0"> <v:f eqn="sum @0 1 0"> <v:f eqn="sum 0 0 @1"> <v:f eqn="prod @2 1 2"> <v:f eqn="prod @3 21600 pixelWidth"> <v:f eqn="prod @3 21600 pixelHeight"> <v:f eqn="sum @0 0 1"> <v:f eqn="prod @6 1 2"> <v:f eqn="prod @7 21600 pixelWidth"> <v:f eqn="sum @8 21600 0"> <v:f eqn="prod @7 21600 pixelHeight"> <v:f eqn="sum @10 21600 0"> </v:f></v:f></v:f></v:f></v:f></v:f></v:f></v:f></v:f></v:f></v:f></v:f> <o:lock aspectratio="t" v:ext="edit"> </o:lock><w:wrap type="square"></w:wrap> |
6 |
도깨비가지 |
북미가 원산지로서 우리나라에는 1978년도부터 제주도․경상도 등 남부지방에 분포된 상태이며, 옥수수와 목초 등이 자라는 지역에서 잘 자라고, 가축들에게 독성이 있다고 보고 되고 있음. 또한 식물체에 부착된 가시로 인하여 농작업을 곤란하게 하고 있음. |
<v:f eqn="if lineDrawn pixelLineWidth 0"> <v:f eqn="sum @0 1 0"> <v:f eqn="sum 0 0 @1"> <v:f eqn="prod @2 1 2"> <v:f eqn="prod @3 21600 pixelWidth"> <v:f eqn="prod @3 21600 pixelHeight"> <v:f eqn="sum @0 0 1"> <v:f eqn="prod @6 1 2"> <v:f eqn="prod @7 21600 pixelWidth"> <v:f eqn="sum @8 21600 0"> <v:f eqn="prod @7 21600 pixelHeight"> <v:f eqn="sum @10 21600 0"> </v:f></v:f></v:f></v:f></v:f></v:f></v:f></v:f></v:f></v:f></v:f></v:f> <o:lock aspectratio="t" v:ext="edit"> </o:lock><w:wrap type="square"></w:wrap> |
환경부 및 지자체는 유해식물에 대한 홍보활동을 강화해야...
환경부, 지자체 및 환경운동단체에서는 유해식물에 대한 국민홍보를 위해 좀 더 노력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유해식물들 사진을 복사하려고 해도 어려워서 잘 되지도 않는다. 환경운동 켐페인만 무성하고 참여를 누가했다 등 참여자에 대한 내용만 무성하다. 국민에게 얼굴알리기 홍보 내지는 운동알리기를 위한 운동을 하는 것인가? 국민들이 유해식물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안다면 산이나 들에 갈 때 국민 스스로 유해식물들을 한개씩이라도 뽑을게 아닌가? 자랑스런 5000만 대한민국 국민이 한 사람이 10그루씩만 뽑더라도 5억그루이다. 관련기관 및 단체들은 국민들이 정확히 알 수 있도록 홍보를 하여야 한다.
'건강과 행복을 위하여 > 산야초, 효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탱자효소즙 (0) | 2013.08.07 |
---|---|
푸른들의 효소力 ... (0) | 2013.08.01 |
[스크랩] 개똥쑥과 인진쑥의 비교 (0) | 2013.07.24 |
[스크랩] 개똥쑥 생,건초 판매 (0) | 2013.07.24 |
[스크랩] 개똥쑥,익모초,사철쑥,인진쑥,비교사진 (0) | 2013.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