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시로 옮긴 반소희(Sophie Bowman)는 영국인으로 우리나라 환경과문명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하고 있으며 솟대문학 권두시로 들어가는 영시 번역을 맡고 나서 작업을 할수록 장애인시에 매력을 느껴 한영시집을 내면 좋겠다는 제안을 할 정도로 한영시집에 애정을 보였다.
솟대문학 방귀희 발행인은 '장애시인 53명은 구상솟대문학상 수상자와 활동이 많은 장애시인으로 선정을 하였는데 장애인문학의 정체성과 우월성을 잘 보여주는 작품'이라며 자신감을 보였다.
한국적인 영국 아가씨 반소희 (소피 바우만)
대학에서 사회인류학을 공부하면서 한국어와 한국문화 / 역사 과목도 들었다. 석사 전공은 한국학으로 했는데, 현대역사 그리고 한국문학 수업을 들었고 논문을 한국에서의 '다문화' 개념에 대해 썼었다.
현재 하고 있는 일
현재 '환경과문명'이라는 연구소에서 파트타임으로 일을 하고 있다. 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일을 하면 서 보고서 번역도 많이 하고, 베트남 국가 개발 계획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다. 출근 안하는 날에 집에 서 번역을 한다. 단편소설이나 시를 번역하고 기사나 재미있는 글도 번역하고 있다.
봉사 활동
오래 전부터 스카우트 대원으로 많은 봉사 활동을 해 왔다. 열다섯 살 때 아동병원에서 오랫동안 입원 해 있는 친구들과 스카우트 게임과 놀이부터 시작했고 열입곱 살이 되면서 스카우트 지도자로 활동하 기 시작했다. 스카우트 활동을 통해 내가 속해 있는 공동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다. 이 일에 큰 보람을 느껴 한국에 와서도 스카우트로서 봉사를 계속하고 있다.
한국에 온 계기
한국과의 만남은 언어로 시작했다. 대학교에 입학하자 한국어 수업을 듣게 되었는데 재미있었다. 그래 서 2학년 때 한국 여행을 여행하기로 결심했다. 봄 방학을 이용해 한 달 동안 한국을 여행하면서 한국 역사에 대해 관심이 많아졌다. 그래서 영국으로 돌아가서 한국역사 공부를 했다. 한국어를 계속 배우고 한국에 대한 연구도 꾸준히 하면서 영국에 살았지만 늘 한국 생각만 하였다. 그래서 석사를 마치자마자 한국에 와서 아직도 있다.
솟대문학과의 인연은
2013년 여름 스카우트 활동을 함께 한 한국 친구가 솟대문학 발행인 방귀희 교수님이 나를 만나고 싶 어 한다고 하여 그 친구와 함께 솟대문학 사무실을 방문하게 되었다. 그 한국 친구는 방귀희 교수님 제자인데 '사회복지프로그램개발과 평가' 과제 발표 때 스카우트 활동을 소개하며 내 인터뷰를 넣었고 그것을 보신 교수님께서 나에게 장애인시를 번역하는 일을 맡겨야겠다는 생각으로 나를 보자고 한 것이었다.
방귀희 교수님은 휠체어를 타고 있었는데 아주 활동적이고 솟대문학에 대한 사랑이 정말 크셔서 도와 드리고 싶은 생각이 들었다.
장애인시를 번역하며 느낀 점
장애인 분들이 쓴 시는 장점이 많은 것 같다. 비장애인들이 너무 바쁘게 살아서 보지 못하는 것을 보고 단순한 것에 큰 감동을 느낀다. 그리고 장애시인이 쓴 시를 통해 그 사람의 장애에 대해 더 깊이 이해 하게 만든다. 그 시인이 장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세상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에 대해 조금이나마 알게 되면서 공감을 하며 그 대단한 노력에 감동을 하게 된다.
번역가로 이런 시들을 번역하면서 나는 아주 복이 많다는 생각을 했다. 번역 일을 하면서 아주 의미 없 는 작업을 많이 하게 되지만 이 시들을 번역하면서는 보람이 컸다. 이 시를 쓴 사람들에게도 이 번역은 의미 있는 일이고, 이 번역시를 읽는 사람들도 큰 감동을 받게 될 것 같아서 아주 기뻤다.
영국의 가족
시를 번역하면 영국에 있는 가족들에게 보내주곤 하였 다. 확인해달라고 하는 것인 데 그 시를 보여주고 싶은 마음이 더 크다. 특별히 우리 어머니 반응이 제일 강하다. 엄마는 장애인 친구들이 많기도 하고, 자연 에 대한 시를 무척 좋아하 기 때문이다.
시집이 나오면 친구 몇 분 들에게 선물을 하고 싶다고 하셨다. 그리고 살고 있는 마을에서 북클럽을 하는데 계절에 대한 시가 필요하다 고 하셔서, 이 시집에 나오 는 <가을편지>, <봄 편지> 그리고 <첫눈이 오던 날>을 보내드려서 북클럽에 있는 친구들과 함께 감상하였다. 그 자리에서 세익스피어의 시도 읽었는데 그래도 이 번역 시들이 상당히 좋았다 고 한다. 특별히 좋아했던 시들은 <동백의 분만>, <해오라기 난초> 였다.
이 책이 가지는 의미는
읽는 사람마다 그 의미는 다양할 것 같다. 사람으로서 우리 모두가 동일하게 느끼는 것들이 있는데 이 시집에 그런 글들이 많다. 어디에서든 이 시를 읽으면 그 내용을 깊이 이해하고 마음 속에 담아서 오래 오래 기억하게 될 사람들 이 많지 않을까 싶다. 그것은 내 희망이기도 하고… 사실 내 마음 속에 이 시들이 심어져 있어 평생 53 편의 시들과 함께 살아갈 것 같다.
출처:한국장애예술인협회
보도자료 통신사 뉴스와이어(www.newswire.co.kr) 배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