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딧불
홈
태그
방명록
김교수의 웰빙 칼럼/전통문화
[스크랩] 한글날의 의미를 알자
잔잔한 시냇가
2011. 10. 9. 06:01
한글날의 의미를 알자
10월 9일은 한글날이다. "한글날"은 훈민정음의 반포를 기념하는 날, 한글은 1443년 조선 제4대 임금 세종이 훈민정음이라는 이름으로 창제한 것에서 비롯한다. 한글 창제 당시에는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는 뜻으로 '훈민정음'이라 하였고, 줄여서 '정음'이라고 부르기도 하였다. 조선 시대에는 지식층으로부터 경시되며, 막연히 '언문(諺文)', '언서(諺書)', '반절(反切)'로 불리거나 혹은 '암글'(여성들이 배우는 글) '아햇글'(어린이들이 배우는 글)이라고 낮추어 불리다가, 1894년 갑오개혁에서 국서(國書), 국문(國文)이라고 불렀고 '조선글'로 부르기도 하였는데 이것은 한국의 글이라는 보통 이름일 뿐이며, '한글'이라는 이름이 널리 쓰이기 전에는 '가갸글'이라 불렀다. '한글'이라는 이름은 큰 글 가운데 오직 하나뿐인 좋은 글, 온 겨레가 한결같이 써온 글, 글 가운데 바른 글(똑 바른 가운데를 '한'가운데라 하듯이), 모난 데 없이 둥근 글 (입 크기에 알맞게 찬 것을 한 입이라 하듯이)이란 여러 뜻을 한 데 모은 것이라 하기도 한다. 1. 한글은 누가 만들었는가? 조선4대왕 세종의 지시로 집현전 학자 성삼문 정인지 신숙주 박팽년 등이 만들었다. 2.한글을 만들어 반포한 때는 언제인가요? 만들어진건 1443년 12월 30일 보급은 그로부터 3년후인 1446년 3.한글의 글자 수는 몇 글자인가요? 처음 한글 낱자는 28가지였으나, 그 가운데 닿소리 ㆁ(옛이응), ㆆ(여린히읗), ㅿ(반시옷)과 홀소리 ㆍ(아래아)가 사라져 지금은 한글은 모두 24자로서 닿소리 14자와 홀소리 10자로 되었다. 닿소리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기역 니은 디귿 리을 미음 비읍 시옷 이응 지읒 치읓 키읔 티읕 피읖 히읗 홀소리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아 야 어 여 오 요 우 유 으 이 세종대왕의 업적 1. 훈민정음을 창제 2. 과학 기구 발명 장영실을 기용하여 측우기,혼천의,자격루 등의 수많은 과학기구를 만들었습니다. 3. 영토 확장. 4군 6진을 개척하여 압록강과 두만강을 잇는 현재의 국경을 완성시켰으며 또 대마도를 정벌하여 왜구를 물리쳤습니다. 4. 아악 정리. 박연에게 아악을 정리하도록 하였고 세종 15년 (1433)에는 국악의 기초를 확립했습니다. 또 정간보를 만들었는데, 정간보는 음의 길이를 정확히 나타낼수 있는 악보였습니다. 5. 집현전 설치. 집현전을 설치하여 인재 양성과 서적을 편찬케 하였습니다. 6. 서적 편찬. 집현전 학사들에게 명하여 백성들이 꼭 읽어야 할 책과 읽어서 본받을 만한 책들을 알기 쉽게 엮어 내도록 하였습니다.
점암인이여! 한글을 바르게 읽고 쓰며 세계를 향하여 꿈을 펼쳐라
점암초등학교장 신성수
출처
: 푸른소나무 향기
글쓴이
: 솔향
원글보기
메모
:
공유하기
게시글 관리
반딧불
'
김교수의 웰빙 칼럼
>
전통문화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Re: 보이차요..
(0)
2012.10.20
[스크랩] 옛날 생각이 나시지요
(0)
2012.03.18
[스크랩] 상주 옥류정(尙州 玉流亭)
(0)
2011.01.06
[스크랩] 화음동정사지(華陰洞精舍址)의 정자
(0)
2011.01.06
[스크랩] 옛 조경의 조성원리와 철학
(0)
2011.01.06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