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음동정사지(華陰洞精舍址)의 정자
화음동정사지(華陰洞精舍址)는 강원도 화천군 사내면(史內面) 삼일리에 있는 정사(精舍) 터. 1990년 5월 31일 강원도기념물 제63호로 지정되었다. 전체면적 15,291㎡이다. 조선 현종 때 성리학자인 곡운 김수증선생이 관직을 버리고 화천군 사내면 용담리에 은둔하며 1670년 곡운정사를 짓기 시작하여 농수정과 가묘도 세우고 가족을 이끌고 들어와 살았다. | |
1689년 기사환국으로 막내동생 김수항과 친구인 우암 송시열이 화를 당하자 2차 은거지로 삼일리를 선택해 화음동이라 이름하고 화음동정사를 지어 은둔생활에 들어갔다. 화음동정사는 성리사상의 우주관과 상수역의 원리를 적용한 조형건축의 상징적 공간으로 다른 곳에서는 그 유래를 찾을 수 없다.
바위위에 지은 사모정(송풍정)과 삼모정(삼일정)은 성리사상을 표현한 공간의 일부인데 이번에 다시 보수하였다.
삼일정(三一亭)
송풍정(松風亭)
|
지붕부분 방충작업
마루부분 방충작업
좌측이 삼모정인 삼일정, 우측이 사모정인 송풍정.
송풍정
송풍정 정자 밑 바위에 새겨진 刻書(月窟巖)
삼일정
보기드문 삼모정이다.
지붕도 삼각형.
마루도 삼각형.
삼일정에서 바라본 송풍정.
삼일정의 천장. 태극도가 선명하다.
삼일정 정자 밑 바위에 새겨진 刻書.
자료제공 : 두해고건축 www.doohae.co.kr
'김교수의 웰빙 칼럼 > 전통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옛날 생각이 나시지요 (0) | 2012.03.18 |
---|---|
[스크랩] 한글날의 의미를 알자 (0) | 2011.10.09 |
[스크랩] 상주 옥류정(尙州 玉流亭) (0) | 2011.01.06 |
[스크랩] 옛 조경의 조성원리와 철학 (0) | 2011.01.06 |
[스크랩] 정자를 통해 본 별서 정원의 풍류 (0) | 2011.01.06 |